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확장성, 탈중심성과 열린 구조, 참여와 공유, 거대한 세계관 구축의 특징을 지닌다. 한편 유형은 통합형·독립형, 네이티브·프랜차이즈·마케팅 목적, 가상·실제 경험과 적극·소극 참여로 구분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 있다.
30.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특징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네 가지 뚜렷한 특징을 지닌다. 이는 단순한 서사 확장을 넘어, 오늘날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해 준다.
1) 확장성(Extensibility)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끊임없이 확장된다. 외형적으로는 미디어의 확장을, 내면적으로는 스토리의 확장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사례는 스타워즈이다. 본편 영화 9편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구조는 이미 완결되었지만, 그 빈틈을 채우는 다양한 확장이 이루어졌다. 애니메이션, 게임, TV 시리즈, 팬 창작물 등 수많은 형태의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거대한 세계관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확장성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가 가진 가장 두드러진 속성이다.
2) 탈중심성과 열린 구조(Decentralization & Open Structure)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는 중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매체와 스토리가 독립된 입구가 되어, 사용자는 어느 지점에서든 이야기에 참여할 수 있다. 해리포터 세계관은 이를 잘 보여준다. 책에서 출발했지만, 영화·연극·신비한 동물사전 시리즈·온라인 플랫폼 위저딩 월드 등 다양한 경로로 확장되었다. 사용자는 특정 매체만 접해도 충분히 즐길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매체를 오가며 전체 세계관을 이해할 수도 있다. 이는 열린 구조이자 탈중심성을 갖춘 전형적 사례다.
3) 참여와 공유(Participation & Sharing)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콘텐츠 제작과 공유의 용이성이다. 스마트폰과 편집 도구의 발달로 누구나 손쉽게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스타워즈와 해리포터와 같은 작품에는 수많은 팬 필름이 제작되었으며, 이들은 원작의 빈틈을 창의적으로 메우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참여와 공유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본질적 속성이자, 디지털 시대가 가능케 한 중요한 특징이다.
4) 거대한 세계관의 구축(Building a Grand Universe)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단일한 작품이 아니라, 여러 조각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을 형성한다. 각각의 콘텐츠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상호 연결되어,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더 큰 의미를 지닌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는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영화·TV 시리즈·애니메이션·게임 등 다양한 매체가 결합해 예상보다 훨씬 거대한 세계를 만들어냈다.
결국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무한히 증식하는 방을 가진 집’과 같으며, 개별 작품을 넘어 전체 세계관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학자들은 이를 형태, 목적, 경험의 기준에 따라 구분한다. 이러한 유형적 구분은 실무적 활용에 직접적인 지침을 주기보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과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데 의미가 있다.
1) 형태에 따른 구분: 통합형과 독립형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크게 통합형과 독립형으로 나눌 수 있다.
통합형은 기존 원천 스토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유형이다. 해리포터, 스타워즈, 매트릭스와 같은 작품이 대표적이다. 이 경우 원천 콘텐츠와의 연속성이 강하며, OSMU(원소스 멀티유즈)와 경계가 부분적으로 겹치기도 한다.
독립형은 특정 원천 없이 순수하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위해 창작된 유형이다. 스웨덴 공영방송의 〈마리카에 관한 진실〉은 대표적인 사례로, 드라마·시사 프로그램·블로그·SNS·오프라인 활동이 긴밀하게 연결되며 전개되었다. 이러한 독립형은 트랜스미디어의 본질적 속성을 가장 잘 보여준다.
2) 목적에 따른 구분: 네이티브, 프랜차이즈, 마케팅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제작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네이티브 트랜스미디어(Native Transmedia)]
처음부터 트랜스미디어 방식을 고려하여 기획·제작된 콘텐츠다. 매트릭스의 경우 영화 2편과 3편이 동시에 제작되는 동안, 그 사이의 이야기를 담은 게임과 애니메이션이 함께 기획되어 선보였다. 이는 동기적 방식으로 설계된 전형적 사례다.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Franchise Transmedia)]
기존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양한 확장형이다. 워킹데드는 드라마를 시작으로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확장되며, 프랜차이즈화된 트랜스미디어 전략의 전형을 보여준다.
[마케팅 트랜스미디어(Marketing Transmedia)]
이미 존재하는 콘텐츠를 홍보하기 위해 활용된다. 다크 나이트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온라인 사이트, 오프라인 캠페인, 팬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 홍보성을 감추면서 재미와 게임적 요소를 제공해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3) 경험에 따른 구분: 가상과 실제, 적극과 소극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경험의 성격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가상적 경험]
가상적 경험을 제공하는 유형은 SF나 판타지 장르에서 주로 발견된다. 스타워즈, 해리포터, MCU는 모두 현실에서 불가능한 세계를 구현하며, 사용자는 간접적 경험을 통해 몰입한다.
[실제적 경험]
실제적 경험을 제공하는 유형은 사용자가 직접 체험을 통해 이야기에 개입하도록 설계된다. 마리카에 관한 진실은 블로그, 트위터, 오프라인 미션을 통해 시청자가 스토리 속에 참여하도록 만들었으며, 컨스피러스 폴 굿은 아프리카 박물관 건립과 같은 실제적 맥락을 결합해 경험을 확장시켰다.
또한 적극성과 소극성의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마리카에 관한 진실처럼 적극적 참여를 요구하는 사례도 있는 반면, MCU처럼 소극적 소비에 머무는 경우도 존재한다.
'트랜스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핵심 전략과 구성 요소 (0) | 2025.09.12 |
---|---|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사용과 스토리, 브랜드 속성 (0) | 2025.09.11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시대의 SNS와 브랜드 (1) | 2025.09.10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장단점과 미디어의 이해 (0) | 2025.09.10 |
게이미피케이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재정의 (0) | 2025.09.03 |